Page 21 - 파이썬으로 배우는 컴퓨팅사고 도서 미리보기
P. 21
042 PART 1? 컴퓨팅 사고력과 파이썬 기초
1. print() 함수 내에서 + 연산자 좌우에 문자열이 위치할 경우 두 문자열을 붙여 출력한다.
>>> print(“안녕” + “파이썬”)
안녕파이썬
2. 문자열과 문자열을 띄기 위하여 “안녕 ”과 같이 “안녕” 글자 뒤에 스페이스를 추가하거나, “안
녕” 문자열과 “파이썬” 문자열 중간에 “ ” 문자열을 추가하여 출력한다.
>>> print(“안녕 “ + “파이썬”)
안녕 파이썬
>>> print(“안녕” + “ “ + “파이썬”)
안녕 파이썬
3. print() 함수 내에서 + 연산자를 이용하여 숫자 형태의 문자열들을 출력할 경우 계산이 되지
않고 붙여져 출력된다. 단 + 연산자로 문자열과 숫자를 출력할 경우 서로 다른 자료 형태이
므로 오류가 발생한다.
>>> print(“10” + “20”)
1020
>>> print(“10” + 2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13>”, line 1, in <module>
print(“10” + 20)
TypeError: must be str, not int
4. print() 함수 내에서 문자열 뒤에 * 연산자를 이용하여 숫자를 지정할 경우 문자열이 지정된
숫자만큼 반복되어 출력된다.
>>> print(“파이썬” + 10)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 파이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