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파이썬으로 배우는 컴퓨팅사고 도서 미리보기
P. 50

234  PART 2? 파이썬으로 익히는 STEAM 코딩

     5.	 문제 4와 같이 전역변수를 통해 결과를 반환받을 경우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그리
          고 ‘7장 Coding? Programming!’의 10번 문제를 참고하여 전역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튜플
          방식으로 몫과 나머지를 반환하도록 div_qr() 함수를 수정하여 호출해보자.

              정수1 : 7
              정수2 : 3
              몫: 2 나머지: 1

              ?	함수 내부에서 튜플 방식을 이용하여 반환할 경우 return (몫, 나머지) 형식으로 반환하고, 함수를
                호출하여 함수의 결과를 반환 받을 때는 (몫, 나머지) = div_qr() 형식으로 작성한다.

     6.	 리스트를 이용한 1차원 배열 형태로 21, 7, 43, 65, 2, 8, 72, 52, 9의 값을 선언하고 해
          당 리스트 내의 모든 값들을 출력해보자.

              21 7 43 65 2 8 72 52 9

              ?	리스트를 이용한 1차원 배열 선언은 data = [ 21, ..., 9 ] 형태로 선언한다. for 문을 이용한 반복
                에서 리스트의 크기는 len(data)을 통해 계산하며, 리스트 내의 원소는 data[i] 형태로 참조한다.

     7.	 문제 6을 활용하여, 정수를 입력 받아 리스트 내의 값을 검색해보자. 값을 찾은 경우 “위치 :
          n”으로 출력하고, 찾지 못한 경우 “찾지 못함”이라고 출력해보자.

              찾을 값 : 72
              위치: 6
              찾을 값 : 77
              찾지 못함

              ?	값을 찾았는지 찾지 못하였는지를 판별할 때, 값을 찾은 경우 리스트의 0~크기-1 범위에 찾은 위
                치가 있고, 반복이 종료된 경우 위치가 리스트의 크기 값에 해당하므로 이 경우는 찾지 못한 경우이
                다.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