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이해 도서 미리보기
P. 4

CHAPTER 2? 사물인터넷의 개요                                         037

2.1? 제4차 산업혁명과 사물인터넷

1장에서 살펴본 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혁명의 주춧돌인 정보통신기술(ICT)의 기반아
래 ‘지능’과 ‘정보’가 융합된 ‘지능정보사회’, ‘제2차 정보혁명’이라 하였다. 또한 모든 사
물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로의 진화이며, 3차 산업혁명의 결과인 디지털화 혁
명을 기반으로 물리적, 디지털적,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 융합의 시대
라 하였다. 그럼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혁명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알
아보도록 하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즉 IoT는 4차 산업혁명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
는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의 중심축을 이룬다. 사물인터넷은 사물과 사
물뿐만 아니라 사람, 시스템과 정보 자원까지를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시스
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향후에는 모든 것이 연결되는 만물인터넷(IoE: Internet of
Everything) 시대가 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가트너 연구기관에 의하면 사물인터넷
에 연결된 기기의 수는 2015년 약 50억 기기에서 2020년에는 약 268억 기기가 상호 연
결될 것이라 예측하였고, 시스코(Cisco)은 2020년까지 500억 기기, 인텔(Intel)은 2020
년까지 약 2,000억 기기가 연결될 것이라 예측하였다. 미국 IT기업 중 하나인 시스코는
2015년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기기의 수는 1%에 불과하고, 향후 99%가 연결을 기다리
고 있다고 예고하였는데, 연결 가능한 기기가 100% 연결된 사회의 모습은 상상 그 이
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초연결 사회는, 이제 현실에 존재하는 물리적 세계와 가상의 사이버세계까지
를 연결하는 새로운 초연결 사회를 추구하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 Cyber Physical
System)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인터넷으로 묶어 있는 사이버 세계 속의
사람, 사물, 서비스, 응용시스템들이 상호 소통하며 지능적으로 제어되어지는 시스템
을 말한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은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여 자동화의 최적화를 추구하
며, 4차 산업혁명의 주춧돌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사물인터넷이 바로 이러
한 사이버물리시스템의 주요 기반 기술을 이루는 4차 산업혁명의 근원인 것이다.

이러한 초연결 사회는 데이터 빅뱅시대의 진입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 특징에서 살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