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이해 도서 미리보기
P. 11
CHAPTER 2? 사물인터넷의 개요 041
인터넷은 사물이 데이터에 접근하여 다른 기기와 소통하다.
IoT에서 사물이란 전용선이나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유·무선 통신기술이 탑
재되고, 자기 자신을 인터넷상에서 유일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롤(IP:
Internet Protocol), 즉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어떠한 사물은 IP주소 없이
IP주소를 가지는 사물에 연결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들(sensors)을 통해 데
이터를 수집하거나 특정한 일을 수행하는 둘 중의 하나의 기능만 있어도 된다. 다른 사
물과 소통할 수 있다면 사물인터넷의 사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물인터넷
에 연결된 사물들을 컨넥디트 기기(connected device)라고도 부른다. IoT에서 사물들
의 연결은 기기들을 직접 인터넷에 연결시키기 보다는 작은 단위의 네트워크에 연결시
키고, 또 그 작은 단위의 네트워크들이 상호 연결되어 더 큰 단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
면서, 궁극적으로 거대한 사물인터넷이 형성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사물들은 아주 다양하다. 우리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가전제품과 홈 자동화 기기들, 요즈음 TV에서 사물인터넷 기능을 가진
TV,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 선전을 많이 볼 수 있다. 그 밖에도 보청기, 심박동기 등의
의학기기,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공장 자동화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
들도 포함된다. 무생물뿐만 아니라 사람,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생물체도 사물인터
넷에 연결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는 사물인터넷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센서 등이
포함된 장치나 칩 등을 생물체에 내장하거나 부착해야 한다.
사물들이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며, 사람의 개입 없이도 스스로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이
생성된다.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기기에
전송되거나, 수집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다른 기기와 연결되기도 한다. 연결된 기
기들은 자동화된 방식으로 다른 기기들과 소통하고,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와
지능을 공유하면서, 주어진 업무를 자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자동화된 식물농장 시
스템을 예로 들어보면, 먼저 식물농장의 적정 온도와 토양의 적정 습도량을 시스템에
등록한다. 그러면 사물인터넷에 연결된 온도 센서는 온도를 측정하여 냉방시스템에 전
달하고, 냉방시스템은 전달된 온도에 따라 냉방시스템을 자동으로 작동시켜 준다. 습
도센서는 습도를 측정하여 분무시스템에 전달하고, 분무시스템은 전달된 습도량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