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의 이해 도서 미리보기
P. 13

CHAPTER 2? 사물인터넷의 개요                                 043

우선 먼저 사물인터넷의 기본적인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위키백과의 정의
를 살펴보면, 위키는 사물인터넷을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
결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하였다.

yy사물(Things): 여기에서 사물이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터넷
   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가전제품, 자동차, 의료기기,
   베란다의 화분, 심지어 아기의 지저귀까지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객체들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체를 지닌 객체들뿐만 아니라 자동화된 다양한 종류
   의 응용시스템, 예를 들면, 재고관리시스템이나 물류시스템 등과 같은 응용시스템들
   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yy주요기능(물리적 현상 탐지 기능, 인터넷 연결 기능 및 통신 기능):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이 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현상을 탐지할 수 있는 기능과 인터넷 연결
   기능 및 통신 기능 등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물에 온도나 빛과 같은 물리적인 현
   상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탑재하여 인터넷 상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시킬 수 있
   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인 IP 주소를 부여하고 통신 모듈을 내장하여 센서가 감지
   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 기능이 필
   요한 것이다.

yy사례(119 자동 화재 신고 서비스):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119 자
   동 화재 신고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인터넷 연결기능과 통신기능을 갖춘 근
   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비콘(beacon)을 집안에 설치하고, 비콘에 실내의 이산화탄소,
   연기,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을 탑재하여 실내 환경을 감지하도록 한 다
   음, 이상 수치가 발생하면 119에 자동으로 긴급문자를 발송하여 소방차가 출동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IoT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의 한 실례이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Internet)에 연결된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사물들이 인간의 명시
적 개입 없이 상호 정보를 주고받으며 인간중심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인
프라 기술”이라 정의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서
는 통신 기능과 고유한 인터넷 주소가 부여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고유하게 식별 가능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